둥수 정보

반응형

 

 

인터넷을 이용할 때 로딩 혹은 다운로드가 느리다면 내 인터넷 환경의 속도를 측정해볼 수가 있습니다. 그 측정에는 여러 가지 방법들이 있고, 주로 전용 사이트를 이용합니다. 이 방법들을 정리해보겠습니다.

 

 

목차

     

     

     

     

    Fast speedtest 사이트 이용하기

    사이트 측정 결과

     

     

    우선 첫번째 방법으로는 fast speedtest 사이트를 이용하는게 있습니다.

    사이트에 접속하자마자 빠르게 속도 측정을 해줍니다.

    위와 같은 식으로 바로 결과가 나올텐데, 위 이미지를 클릭해서 이동 가능합니다.

     

     

     

    상세 측정 결과

     

     

    그리고 하단의 '상세 정보 보기'를 클릭하면 이런 식으로 상세 결과가 나옵니다.

    트래픽 수에 따른 지연시간 및 업로드 속도 또한 나오죠. 맨위에 있는게 다운로드 속도입니다.

     

     

     

    다른 측정 사이트

     

     

    다른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 또한 존재합니다.

    상대 서버 위치 등에 따라서 속도가 좀 많이 다르게 나올 수도 있겠습니다.

    이 또한 위 사진을 클릭해서 이동이 가능하니, 참고해주세요.

     

     

     

    클라우드 플레어 속도 측정 사이트

     

     

    주관적으로 필자가 추천하는 공신력 있는 인터넷 속도 측정 사이트는 여깁니다.스피드 클라우드플레어라는 곳인데,미국의 인지도 있는 정보통신기술 기업인 클라우드 플레어에서 운영합니다.

     

    직접 이동해보면 인터넷 속도 통계가 실시간으로 갱신되면서 나올 겁니다.

     

     

     

    구글의 속도 측정

     

     

    그리고 구글에 '인터넷 속도 측정'이라고 검색을 할 시, 이렇게 속도 테스트 기능도 있습니다.

    구글에서 운영하는 것이기에 신뢰성이 있다고 할 수 있겠죠.

    '속도 테스트 실행'을 클릭해서 한번 측정해보도록 합시다.

     

     

     

    구글 측정 결과

     

     

    이런 식으로 빠르게 결과가 출력됩니다.,

    다운로드 속도는 다른 서버와 별다를게 없지만, 구글의 인터넷 속도 측정 시스템이

    유독 업로드 속도가 부실하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평균 인터넷 속도는 얼마인가

    평균 인터넷 속도

     

     

    이제 평균적인 인터넷 속도를 알아보자면, 평균은 120mbps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객관적으로 봤을 때는 적당한 속도라고 볼 수 있겠지만, 상대적으론 약간 부족한 속도죠.

    어쨌거나 100mbps 이상의 다운로드 속도만 나온다면 크게 문제는 없습니다.

     

     

     

    인터넷 속도 고려 요소

     

     

    또, 이 인터넷 속도 측정은 여러 요소들에 따라 달라질 수 있겠습니다.

    동일한 기기로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다운로드 작업을 하고 있거나,

    서버가 너무 멀거나 하면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 점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렇게 해서 인터넷 속도 측정 방법들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