둥수 정보

반응형

 

 

보통 게임을 다운로드할 때는 디지털 패키지 게임 유통 플랫폼인 스팀을 많이 이용할 겁니다. 하지만 인터넷 네트워크 환경에 따라 스팀 게임 다운로드 속도가 꽤나 느리게 나올 수 있습니다. 보통 10MB/s 미만이라면 꽤나 느린거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게다가 스팀 게임들은 40GB를 넘는 대용량 게임들도 많기에 더욱 그렇게 체감될 겁니다. 이러한 스팀의 다운로드 속도를 향상시키는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합시다.


목차






스팀 캐시 설정을 통해 다운로드 속도 올리기



일단 스팀을 실행하신 상태일 겁니다. 대부분은 현재 스팀 게임을 다운로드 도중이겠죠.
스팀 창에서 좌측 상단의 '보기' 버튼을 클릭합시다. 그리고 나오는 탭들 중 4번째로 있는 '다운로드' 탭을 클릭해주세요. 또는 스팀창 맨 아래의 다운로드 바를 클릭하셔도 됩니다.


스팀 다운로드 페이지

 

 

그러면 이러한 스팀의 다운로드 페이지로 이동됩니다. 여기서 우측 상단에는 톱니바퀴 모양의 설정 아이콘이 있습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해주세요.

 

 

 

다운로드 설정 창

 

 

그러면 이런 식으로 스팀 다운로드 설정 창이 나오게 됩니다. 여기서 여러 가지 설정들이 보일 겁니다.

 

우선 '다운로드 속도 제한' 및 '스트리밍 중 다운로드 속도 제한' 옵션을 해제해주세요. 다운로드 속도 제한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있기도 합니다.

 

 

 

다운로드 지역 설정

 

 

그리고 맨 위에는 '다운로드 지역'이 있습니다. 이는 다운로드를 하기 위해 연결하는 스팀 서버 설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가장 가까운 곳으로 설정해주세요. 현재 위치가 서울에 가깝다면 기본 설정인 서울로 놔두면 되고, 부산에 가깝다면 부산으로 설정합시다.

 

 

 

다운로드 캐시 설정

 

 

그리고 아래로 스크롤을 해보면 '다운로드 캐시 삭제'라고하는 옵션이 보입니다. 이 옵션 우측의 '캐시 삭제' 버튼을 클릭하세요. 캐시가 삭제되면서 속도 문제가 해결될 겁니다.

 

단, 이 설정을 하게 되면 스팀이 재시작됩니다. 다운로드 도중이라고 하더라도, 내려받고 있던 구간에서 다시 받을 수 있으니 걱정마세요.


작업관리자를 통해서 스팀 다운로드 속도 올리기

작업 관리자 열기

 

 

이번에는 작업 관리자 앱을 이용해볼 겁니다. 우선 화면 하단에 있는 작업 표시줄에 우클릭을 해주세요. 그리고 나오는 탭 중 '작업 관리자'를 클릭하시면 됩니다.

 

 

 

작업 관리자 창

 

이런 식으로 작업 관리자 창이 나올 겁니다. 위 사진과는 약간 창 모양새가 다를 수 있는데, 이는 윈도우11의 작업 관리자이기 때문입니다.

 

좌측에서 '자세히' 항목 탭을 클릭해주세요.


자세히 항목

 

 

이렇게 자세히 항목이 보이는데 여기서 상단의 '이름'을 클릭해서 이름순으로 정렬해주세요.

 

그리고 'steamservice.exe'를 찾아주도록 합시다.

 

 

 

우선 순위 설정

 

 

해당 서비스에 우클릭을 한 뒤에, '우선 순위 설정(P)' 탭을 클릭하고 옆에 나오는 것들 중 '높음(H)'을 클릭해주면 해결입니다.

 

이렇게 하면 스팀 서비스가 우선해서 처리됨에 따라, 네트워크 연결을 스팀에 우선해서 할당하죠. 따라서 다운로드 속도가 향상되는 겁니다.

 

 

 

 

 

 

이렇게 해서 스팀 다운로드 속도 올리는 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봐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반응형

공유하기

facebook twitter kakaoTalk kakaostory naver band